본문 바로가기

주역88

108배 매일 아침 하는 운동 루틴을 하나 추가했다. 108배다. 108배를 하면 허리나 관절에 좋다는 사람도 있고 안 좋다는 사람도 있다. 108배를 한 달 정도 했다. 무릎 관절이 좋아지는지 나빠지는지 스스로 체험하면서 관찰하고 있다. 절을 한 번 하고 일어섰을 때 발끝부터 머리끝까지 쭉 펴면서 온 전신의 근육을 힘을 한 번 넣는다. 거의 전신 운동이 되는 느낌이다. 절 개수를 헤아리다 이왕 하는 거 64괘를 외우면서 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1중천건 2중지곤 3수뢰둔 4산수몽 5수천수 6천수송 7지수사 8수지비 9풍천소축 10천택리 11지천대 12천지비 13천화동인 14화천대유 15지산겸 16뢰지예 17택뢰수 18산풍고 19지택림 20풍지관 21화뢰서합 22산화비 23천뢰무망 24산천대축 25산지박 26지뢰복.. 2023. 9. 12.
택뢰수괘(澤雷隨卦䷐) 자기보다 아래에 있는 사람을 따를 수 있어야 수(隨)는 ‘따름’, ‘좇음’, ‘추구’다. 따름은 자발적이다. 강요된 따름은 따름이라 할 수 없다. 따르는 사람을 좋고, 따름을 당하는 사람도 좋다. 사람을 따를 수도 있고, 사상을 따를 수도 있고, 유행을 따를 수도 있고, 변화하는 때를 따를 수도 있다.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따를 수도 있고,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따를 수도 있고, 동료를 따를 수도 있다. 따름은 애국(愛國), 충성(忠誠), 복종(服從), 순종(順從), 연애(戀愛), 흠모(欽慕), 존경(尊敬), 유유상종(類類相從), 붕당(朋黨), 종교(宗敎), 조직(組織), 매관매직(賣官賣職), 정경유착(政經癒着) 등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따르는 당사자는 좋겠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좋지 않은 따름과 바람직한 따름이 있다. 바람직한 ‘따름’.. 2023. 9. 8.
천지비괘(天地否卦䷋) 막힌 시대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 천지비괘(天地否卦䷋)는 지천태괘(地天泰卦䷊) 다음에 오는 괘다. 비(否)는 아님, 부정, 막힘, 비색함이다. 괘의 모양을 보면 위ㆍ바깥에 건괘(乾卦☰)가 있고, 아래ㆍ안에는 곤괘(坤卦☷)가 있다. 하늘의 기운은 위에만 있고, 땅의 기운은 아래에만 있다. 통하지 않음, 사귀지 않음이다. 인간사로 보면 암울하고 밤과 같은 난세(亂世)다. 소인들만 나서서 설치는 시대다. 대인(大人)과 군자가 바르게 하면 오히려 소인들이 가두고 죽이고 박해를 한다. 대인과 군자가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롭지 않는 시대 상황이다. 따라서 군자는 관료에 나서지 않고 검소함과 덕(德)으로써 재앙을 피한다. 태괘(泰卦䷊)을 말아서 뒤집은 도전(倒顚)한 괘가 비괘(否卦䷋)다. 잡괘전(雜卦傳)는 “비괘(否卦)와 태괘(泰卦)는 그 종류가 모두.. 2023. 9. 6.
지천태괘(地天泰卦䷊)(1) 아래에 있는 것은 위로, 위에 있는 것은 아래로 泰(태), 小往大來(소왕대래), 吉亨(길형).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니 길하고 형통하다. 초구, 띠풀의 엉겨 있는 뿌리를 뽑는 것이니, 그 무리와 함께 움직이면 길하다. 구이, 큰 도량으로 포용하고, 강한 결단력으로 개혁하며, 멀리 있는 자를 버리지 않고, 붕당을 짓지 않으면, 중도를 행하는 자를 도울 수 있다. 구삼, 평평하기만 하고 기울어지지 않는 것은 없으며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없으니, 어려워도 바름을 지키면 허물이 없고 진실함을 걱정하지 않으면 먹는 것에 복이 있을 것이다. 육사, 새가 무리 지어 날아오듯이 부유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웃과 함께하여 경계하지 않고 믿는다. 육오, 제을이 여동생을 시집보내니 그로써 복을 받고 길할 것이다. 상육, 성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감이니 군.. 2023.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