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역89

5. 수천수괘(水天需卦䷄) 기다림의 때와 태도는... 需, 有孚, 光亨, 貞吉, 利涉大川(수, 유부, 광형, 정길, 이섭대천) 수, 믿음이 있으면 광명하고 형통하여 바름을 지키면 길하니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 단왈: 수는 기다림이니 험난함이 앞에 있다. 강건하여 험난함에 빠지지 않으니 그 뜻이 곤궁하지 않을 것이다. ‘수는 믿음이 있으면 광명하고 형통하여 올바름을 지키면 길하다’는 것은 천위(天位)에 위치하고 중정(中正)하기 때문이다.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가면 공이 있다는 것이다. 상왈, 구름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이 수괘이다. 군자가 수괘의 상을 보고서 먹고 마시며 잔치를 베풀고 즐긴다. 初九, 需于郊, 利用恒, 无咎(초구, 수우교, 리용항, 무구.) 초구, 교외에서 기다림이니, 상도(常道)를 잃지 않으면 이로우니 허물이 없을 것.. 2023. 8. 1.
두고 보자 험난함이 앞에서 방해를 할 때는 두고 봐야 한다 두고 봐야 하는 때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두고 봐야 하는 때에 믿음이 있으면 광명하고 형통하다 두고 보는 데에 바름을 지키면 길하다 큰 내를 건널 때는 두고 보고 있다가 바름을 지키며 건너면 이롭다 두고볼 줄만 알고 실력이 없으면 두고 보는 게 아니다 구름이 하늘 위에 있으나 아직 비가 되지 못하고 있으면 두고 봐야 한다 시세를 잘 살펴 하지 말아야 할 때는 하지 않고 두고 봐야 한다 두고 볼 때는 먹고 마시며 잔치를 베풀고 즐기면서 힘을 쌓아야 한다 마음속으로 통하려고 노력할 때는 두고 봐야 한다. 애태워하지 않으면 두고 봐야 한다 때로는 물에서 멀리 떨어진 교외에서 두고 봐야 한다 때로는 물가 모래에서 두고 봐야 한다 때로는 물가 진흙에서 두고 봐야 한.. 2023. 7. 28.
뢰지예괘(雷地豫卦䷏) (2) 즐거움을 주저하면 크게 얻음이 있다 뢰지예괘(雷地豫卦䷏)를 말아서 뒤집은 도전(倒顚)괘가 지산겸괘(地山謙卦䷎)다. 겸괘(謙卦)는 예괘(豫卦) 바로 앞에 오는 괘다. 서괘(序卦)전에서는 “큰 것을 소유하면서 겸손할 수 있으면 반드시 즐겁기 때문에 예괘로 받았다”라고 했다. ‘큰 것을 소유함’은 겸손의 전제 조건이다. 재물이든 지식이든 많이 소유한 자에게 요구되는 것이 겸손이다. 가진 것이 거의 없는 사람이 낮추는 것은 겸손이라기보다 원래 낮고 힘이 없어서 더 낮추는 것이라 비굴(卑屈)함이나 아첨(阿諂)에 가까운 생존 전략이다. 아는 게 많거나 신분이 높아지면 스스로 낮추는 것이 쉽지 않다. 겸손하지 않으면 오만(傲慢)ㆍ거만(倨慢)ㆍ교만(驕慢)ㆍ자만(自滿)에 가까워진다. 겸손하지 않으면 어깨 힘이 들어가 뻣뻣해지며 스스로 만족하여 분발(奮發).. 2023. 7. 26.
16. 뢰지예괘(雷地豫卦䷏) (1) 순응하여 미리하면 즐겁지 아니할까 16. 뢰지예괘(雷地豫卦䷏) (1) 순응하여 미리하면 즐겁지 아니할까 豫, 利建侯行師(예, 리건후행사) 예, 제후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하는 것이 이롭다 彖曰 豫, 剛應而志行, 順而動, 豫. 豫, 順而動, 故天地之而況建侯行師乎! 天地而順動, 故日月不過而四時不忒, 聖人而順動, 則刑罰淸而民服. 豫之時義大矣哉.(단왈 예, 강응이지행, 순이동, 예. 예, 순동, 고천지이황건후행사호! 천지이순동, 고일월불과이사시불특, 성인이순동, 즉 형벌청이민목, 예지시의대의재.) 단전왈, 예, 강(剛)이 응하여 뜻이 행해지고 순응함으로써 움직이는 것이 예이다. 예는 순응함으로써 움직이니 천지도 이와 같거늘 하물며 제후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함에 있어서랴! 천지가 순응하여 움직이는 까닭으로 해와 달이 잘못되지 않아 사계절이 어긋나지.. 2023.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