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역91

비구혼구(匪寇婚媾); 도적이 아니라 혼인할 짝 그녀가 말했다. “자기는 도둑이야!” “아니, 내가 뭘 훔쳤다고 도둑이래?” “자기는 내 마음을 훔쳤잖아.” “헐……. 주역(周易) 괘(卦)에 비구혼구(匪寇婚媾)라는 말이 세 군데 나온다. 비구혼구는 도적질하려는 악의(惡意)를 품고 온 사람이 아니고 혼인(婚姻)하자는 호의(好意)에서 왔다는 말이다. 수뢰둔괘(水雷屯卦䷂) 육이(六二)에 ‘어렵거나 머뭇거리며 말을 탔다가 내리니 침범하는 도적이 아니라 혼인할 짝이니 여자가 (바름을 지키며) 곧 혼인하지 않다가 10년 되어서야 혼인한다’라고 나온다. 산화비괘(山火賁卦䷕) 육사(六四)에 ‘꾸미거나 희게 하여 흰 말이 나는 듯이 달려오니 도적이 아니라 혼인할 짝이다’라는 내용이 있다. 화택규괘(火澤睽卦䷥) 상구(上九)에는 ‘어긋나 외로워서 돼지가 진흙을 뒤집어쓰거.. 2023. 4. 22.
산화비 ㅡ지나치지 않는 경지에서 멈추기 22. 山火賁 (산화비) ䷕(산아래불) 艮上離下(간상리하) 비(賁)괘는 형통함을 상징한다. 비괘는 유가 강을 장식하여 주니 음양이 조화되어 형통함을 보여주고, 또 강이 유를 장식하여 주니 유는 원래 유약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강의 협력을 얻었기 때문에 작은 정도의 수행은 적극적으로 추진하여도 좋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음양이 서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은 천체의 운행 현상이요, 문명이 그 정도를 지나치지 않는 경지에 머무르게 하는 것은 인류의 문화인 것이다. 천체의 운행 현상을 보고 천지의 변천을 살피며, 인류의 문화를 관찰하여 천하를 교화한다. (비 괘의 모양을 살펴보면 상괘와 하괘를 합하여 강을 의미하는 양효가 셋, 유를 의미하는 음효가 셋씩 있어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그 모양을 아름답게 하고 .. 2023. 4. 21.
화뢰서합괘(火雷噬嗑卦䷔)(1) 화뢰서합괘(火雷噬嗑卦䷔)(1) 서합(噬嗑)괘의 ‘서(噬)’는 ‘씹다’, ‘깨물다’, ‘합(嗑)’은 ‘입 다물다’의 뜻이다. 서합(噬嗑)은 씹어 (합하여) 입을 다무는 것이다. 음식물을 씹기 전에 씹을 만한가 그렇지 않은가를 잘 살펴야 한다. 잘 씹을려면 아래턱과 윗턱, 그리고 이빨이 튼튼한가를 생각해야 한다. 씹지 않는 것보다, 대충 씹는 것보다 오래 잘 씹어야 음식물들끼리, 또는 소화 효소와 잘 섞인다. 잘 씹어야 걸리지 않고 잘 넘어가고 건강에도 좋다. ‘서합(噬嗑)은 형통하니 옥(獄)을 씀이 이로우니라’ 씹어서 입을 다무는 것은 처벌이나 형벌을 의미하는 비유일 수 있다. 가정이든 학교든 기업이든 국가든 일정한 규모의 공동체가 운영되는 데는 처벌이 없을 수 없다. 처벌의 일차 목적은 교화(敎化)나 교.. 2023. 4. 20.
화뢰서합- 위엄으로 정비하라 21. 火雷噬嗑 (화뢰서합) ䷔ (우레 위의 빛 - 離上리상 震下진하) 서합噬嗑괘는 발전을 의미한다. 위턱과 아래턱 사이에 물건이 끼어 있는 것을 씹고 있는 상태가 서합이다. 그 끼어 있는 물건을 씹어 끊으면 아래윗니가 서로 맞아서 형통하게 된다. 강강剛强을 상징하는 양 괘(진震)와 유화柔和를 상징하는 음 괘(리離)가 나누어져 있어 강성한 활동과 지성의 혁명을 갖췄으며 뇌명진雷鳴震괘와 전광리電光離괘가 합쳐 있어 위엄이 있고 빛이 있으니, 음효가 상괘의 중위를 얻어 왕자의 위치에서 정치를 행하니 비록 그 지위가 적당하지 못하나(오효는 양효의 위치이므로) 형벌을 시행하기에 좋다. 대상大象 - 뇌명의 위력과 전광의 밝음을 겸비한 것이「서합」의 괘상이다. 옛날 착한 군주는 이 괘상을 보고 형벌을 밝게 하고 법령.. 2023.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