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상이상(想像理想) 이야기171

죽을 권리 ‘죽을 권리’라니? 그냥 죽으면 되지 않는가. 죽는 데도 권리가 필요한가. 자살을 권장하는 사회는 없다. 하지만 스스로 죽으려고 하면 막기 힘들다. 다른 사람을 죽이면 살인죄가 되지만 자기 자신을 죽인 자는 처벌할 수 없다. 처벌 대상이 죽었으므로. 미수(未遂)에 그치면 어떨까. 살인 미수는 죄가 되지만 자살 미수는 죄가 되지 않는다. 자살을 도우는 방조(傍助)는 어떨까. 자살 방조는 죄가 된다.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 죽고 싶은데 또는 죽은 것과 같이 사는데 죽지 못하는 경우가 문제다. 환자가 목숨만 붙어있고 의사를 표현할 길이 없다면 죽고 싶은지 살고 싶은지 확인할 수 없다. 죽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해도 문제다. 그 죽음을 도우면 법적으로 자살방조죄가 된다. 가족은 자신이 .. 2025. 5. 14.
연금술과 모순(矛盾) 금 한 돈(3.75g) 시세가 팔 때는 555,000원이고 살 때는 647,000원이다. 금을 만들 수 있다면 돈을 쉽게 벌 수 있다. 연금술(鍊金術)은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아라비아를 거쳐 중세 유럽에 전해진 원시적 화학 기술이다. 구리·납·주석 따위의 비금속(卑金屬)으로 금·은 따위의 귀금속을 제조하고, 나아가서는 늙지 않는 영약(靈藥)을 만들려고 한 화학 기술이다. 근대 화학이 성립하기 이전까지 천 년 이상 계속되었다. 그런데 실제 금을 만들게 되면 모순(矛盾)이 발생한다. 금을 만드는 연금술사가 한 사람이든 여러 사람이든 금을 만드는 양을 통제할 수 있겠는가. 또 그 비법이 다른 사람들한테 전수되지 않겠는가. 금이 흔하게 되면 금값은 떨어지고 금의 가치를 잃어버리게 된다. 귀하고 가치있는 모든.. 2025. 5. 11.
AI가 고도로 발달하면... 인공지능(AI)이 발달하면 미래 사회에는 어떻게 변할까. 김동식은 이를 상상한 18편의 초단편을 묶어 『보그나르 주식회사』라는 소설책을 냈다. ‘라이프 리플레이’. 라이프 리플레이는 종일 몸에 장착하고 다녀야 하는 인공지능 장치이고 어플이다. 하루의 모든 것이 녹화되고 이를 리플레이할 때는 실제 일어났던 것과는 다르게 나의 선택에 따라 가상으로 리플레이할 수 있다. 실제 일어났던 현실에서와는 달리 리플레이 가상에서는 제한이 없다. 실제와는 다르게 불륜, 폭력, 불법 등 자신의 선택에 따라 모든 것이 가능하다. ‘나 키우기’. 앱에서 ‘나’를 키우는 것이다. 스캔과 설문을 통해 실제 나와 흡사한 앱 속의 ‘나’를 만든다. 그 다음에 직장, 식습관, 운동, 공부, 취미, 일과, 술, 담배 등을 어떻게 하.. 2025. 4. 21.
남자는 왜 친구가 없을까 남자는 왜 친구가 없을까. 여자는 친구가 있다. ‘왜’ 그럴까. 어떤 남자는 어떤 여자보다 친구가 많을 수 있다. 또는 어떤 사람을 ‘친구’로 보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런 문제를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다. 남자들은 대체로 여자들에 비해 그렇다는 것이다. 남자들은 친구가 없는 것에 대해서 메디슨 디킨스는 『남자는 왜 친구가 없을까』라는 한 권의 책을 썼다. 남자들이 친구가 없는 이유는 간단하지 않다. 이성과 논리로 답을 찾으려다 보니 책 한 권이 되었으리라. 어쩌면 그 이유는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그 무엇에 있는지 모른다. 메디슨 디킨스는 ‘유해한 남성성’이 남자가 친구를 사귀는 데 방해한다고 말한다. 개방성, 연약함 등 모든 전형적인 여성적 성향에 대해 낙인을 찍고 금지하는 것, 또 성공.. 2025.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