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역으로 글쓰기/글쓰기로 자강불식하는 주역(두마리)94

세상은 늘… 변한다 생산의 때가 다하면 수용의 때가 오고 꽉 차고 난 다음엔 비워야 할 때가 온다 물속에서 꼼지락거리며 어려운 때를 다하면 어둠 속에서 어리나마 싹 틔울 때가 온다 어리면 음식 차려주고 기다림이 필요하다 음식이 앞에 있으면 욕심이 나고 다툼이 생긴다 군사가 무리를 지어 물처럼 흐르는 때가 지나면 나란히 견주어 도우는 때가 온다 하늘에 바람이 불어 빽빽한 구름에 조금 더 쌓는 때가 지나면 연못 위의 하늘처럼 조심스런 이행의 때가 다가온다 아래로 간 하늘은 위로 올라가려고 위로 간 땅은 아래로 내려가려 하는 태평성대의 때가 다 가면 위로 간 하늘은 위로만 가고 아래 있는 땅은 아래로만 내려고 막히고 불통하는 때가 닥친다 태양 위에 하늘처럼 모든 사람들이 하나가 되어 때가 지나면 하늘 위에 태양이 빛나듯이.. 2024. 1. 29.
하늘 땅...그리고 완성 미완성 중천건(重天乾䷀), 중지곤(重地坤䷁), 지천태(地天泰䷊), 천지비(天地否䷋), 수화기제(水火旣濟䷾), 화수미제(火水未濟䷿)를 보며 생각해본다. 인간사의 모든 면은 상대적이고 대립적인 면이 있다. 즉, 밤이 없으면 낮을 말할 수 없고, 어둠이 없으면 밝음을 말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중지곤(重地坤䷁),이 없으면 중천건(重天乾䷀)을 말할 수 없고 말할 필요도 없다, 천지비(天地否䷋)가 없으면 지천태(地天泰䷊)를 말할 수 없고, 화수미제(水火旣濟䷾)가 없으면 수화기제(火水未濟䷿)를 말할 수 없다. 세상의 모든 것이 변하듯, 주역의 괘도 변화의 과정 중에 놓여있다. 순양(純陽)이든 순음(純陰)이든 반반(半半)이든 골고루 섞여 있든 음양(陰陽)은 고정돼 있지 않고 늘 섞이고 변한다. 어떤 때는 순차적으로 어떤 때.. 2024. 1. 27.
소인배가 대인을 올라타고 농간을 부린다면 소인배가 권력을 쥐고 대인을 타고 앉아 농간을 부리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대인이나 군자들이 대세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대세를 이루었다면 결단하고 척결해야 하리라. 이미 활 시위를 당기고 있다면 그 시위를 놓을 때를 결단해야 한다. 고인 물이 썩기 전에 둑을 터서 물이 흐르게 해야 한다. 다만 가까운 데부터 알리고 힘을 모으고 신중하게 해야 한다. 또 대중들이 충분히 공감하도록 그 진상을 지성으로 호소하고 밝혀야 한다. 주역의 택천쾌(澤天夬䷪)가 이러한 상황에 맞다. 택천쾌(澤天夬䷪)의 괘이름 ‘쾌(夬)’는 결단(決斷)이다” ‘결(決)’은 물이 터지고 흘러 넘치는 것이다. 택천쾌(澤天夬䷪)의 괘상(卦象)을 보자. 건(乾☰)이 아래에 있고 태(兌☱)가 위에 있다. 다섯 양효가 아래에 있고 하나.. 2024. 1. 22.
산택손괘(山澤損卦䷨), 덜어냄 『논어(論語)』에 손자삼우(損者三友)가 나온다. 편벽(便辟)한 자ㆍ줏대없이 아첨하고 미덥지 않은[선유(善柔)] 자ㆍ말만 앞세우고 실속이 없는[편녕(便佞)] 자. 해로운 벗 셋이다. 또 손자삼락(損者三樂)도 나온다. 지나친 쾌락을 좋아하고[樂驕樂(락교락)], 편안히 노는 것을 좋아하고[락일유(樂佚遊)], 잔치를 벌여 즐김을 좋아하는 것[락연락(樂宴樂)]이다. 사람이 좋아하는 것 중에 손해가 되는 세 가지이다. ‘덜어냄’은 ‘더함’을 같이 생각해야 한다. 덜어내는 쪽이 있으면 더하는 쪽이 있다. 손해를 보는 사람이 있으면 그만큼 이익을 보는 사람도 있다. 세금을 많이 거둬가면 납세자에겐 손해지만 징수자인 국가나 정부 입장에선 이익이다. 『도덕경』 36장에 이런 말이 나온다. “장차 접고 싶으면 먼저 펴주어야.. 2024.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