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으로 글쓰기/글쓰기로 자강불식하는 주역(두마리)108 오늘의 운세 아침에 수영장에 가면 옷보관함 번호를 받는다. 이 번호로 그 날의 운세를 점쳐본다. 오늘은 49번을 받았다. 앞자리 4를 상괘로 하면 뢰괘(雷卦☳)다. 뒷자리 9를 하괘로 하면 8로 나누면 1이므로 건괘(乾卦☰)다. 뢰천대장괘(雷天大壯卦䷡)다. 대장괘는 추이로 보면 강건한 양효가 점점 자라나는 모습이다. 괘 이름 ‘대장(大壯)’도 크게 씩씩하고 강건함이다. 괘사는 ‘바르고 굳게 하면 이로움’[리정(利貞)]이다. 오행으로 보면 목(木), 금(金)이다. 호괘로 보면 금(金)이 두 개나 더 있다. 비겁이 많은 날이다. 오후에 테니스를 하면 경쟁하는 동료를 만나고 저녁에 모임을 하면 옛 직장 동료들을 만난다. 금(金) 극 목(木)이므로 다툼과 살차게 말하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주역 괘의 운세로 보면 크고 씩씩.. 2025. 2. 21. 주역 해석의 요지[독역요지(讀易要旨)] 정약용은 주역 이해의 키워드로 ‘환원’과 ‘복원’을 제시했다. 환원은 주역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이다. 환원의 방법은 “큰 의미로 말한 것은 큰 뜻으로 돌리고, 작은 의미로 말한 것은 작은 뜻으로 돌리는” 것이다. ‘복원’의 원칙이란 기호의 본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기호체계가 생성된 생활세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정약용은 『주역』 전편에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는 해석규칙을 수립하려고 시도했다. 이러한 해석 규칙들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소위 역리사법(易理四法)으로 불리는 네 가지 주석방법이다. 이것은 ① 추이(推移) ② 물상(物象) ③ 호체(互體) ④ 효변(爻變)의 네 가지다. 역리사법의 보조적 방법으로 ⑤ 교역(交易), ⑥ 변역(變易) ⑦ 반역(反易)의 삼역지의(三易之義.. 2025. 2. 20. 주역(周易) 공부의 어려움 『주역(周易)』은 어렵다. 위편삼절(韋編三絶). 공자가 주역을 즐겨 읽어 책의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뜻으로, 책을 열심히 읽음을 이르는 말이다. 이 책이 주역이라고 한다. 책의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질 정도로 많이 읽었다는 것은 어렵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공부를 잘 했다는 학자치고 주역에 손대지 않은 사람이 없다. 이 또한 어렵다는 증거가 된다. 물론 그만큼 심오하거나 가치 있는 진리를 담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주역(周易)』은 왜 이해하기 어려울까. 일반적인 경서(經書)에 없는 괘상(卦象)이 있고, 괘사나 효사의 문장도 대화체의 서술도 아니고 객관적 진술도 아니고 논리적 주장도 아니다. 기승전결의 이야기 구조로 이해되지 않는 것이 더 많고, 한 괘 안에서 효사끼리 문장이 연결되지 않는.. 2025. 2. 15. 결혼은 미친 짓일까 2002년에 개봉된 ‘결혼은 미친 짓이다’라는 영화가 있었다. 1960~70년대만 하더라도 혼기를 넘겼는데도 결혼하지 않은 자식이 있으면, 온 집안의 걱정거리였다. 결혼을 하지 않으면 미친 짓이었다. 요즘은 2002년에 비해 결혼은 미친 짓이라고 생각하는 훨씬 많아졌다. 결혼 적령기도 경계가 허물어져 마흔 넘어서 쉰 넘어서도 결혼한다. 결혼도 선택이고, 자식을 낳는 것도 선택이다. 이혼이나 재혼, 싱글도 많아졌다. 비혼으로 사는 것도 옛날에 비해서 훨씬 자유롭다. 주역에는 남자와 여자가 짝을 이루어 합치하는 뜻을 담고 있는 괘는 네 개다. 택산함(澤山咸䷞)은 감응으로 연애괘라 불린다. 택(☱)은 소녀(少女) 또는 여성 성기를 상징한다. 산(☶)은 소남(少男) 또는 남성 성기를 상징한다. 여성이 위에.. 2025. 1. 28. 이전 1 2 3 4 5 6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