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90 주역(周易)과 은주(殷周) 교체기 『주역(周易)』의 저자는 주문왕과 주공으로 알려져 있다. 시대는 은나라 말기와 주나라 초기이다. 은(殷)나라는 상(商)나라다. 상나라는 기원전 1600년에서 기원전 1046년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상나라의 수도 중 가장 유명한 도읍지가 은(殷)이어서 은나라로 불리기도 한다. 상나라가 망하고 상나라 사람들이 장사하며 떠돌아 다닌 데서 상인(商人)과 상업(商業)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상나라의 마지막 제신이었는데 그 시호가 주(紂)였다. 보통 주왕(紂王)으로 부른다. 사마천의 『사기』 「은본기」에 주왕(紂王)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하고 있다. 자질과 언변이 뛰어나고 행동이 민첩했으며 손으로 맹수를 격파하였다. 지혜는 남의 간언(諫言)을 막기에 족하였고, 언변은 자신의 비리를 은폐하기에 족하였.. 2025. 3. 6. 형(亨) ‘형(亨)’자는 『주역』에서 자주 쓰이는 글자다. 괘사에 40번 나오고, 효사에 4번 나온다. 보통 ‘형통함’으로 해석한다. 중천건괘 괘사가 원형이정(元亨利貞)이다. 이를 사덕(四德)이라 부르며, 천지자연이나 춘하추동 사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풀이한다. 따라서 원형이정은 동등한 것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한 글자만으로 단사(彖辭)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형(亨)’ 자밖에 없다. 정약용은 ‘형(亨)’은 ‘팽(烹)’, ‘향(享)’과 통한다고 말한다. 형(亨)은 형통함, 팽(烹)은 삶음, 향(享)은 제사 지냄이다. 제사를 드리기 위해서는 음식을 삶아야 하고, 또 제사를 드리면 형통하게 된다. 세 글자는 이렇게 서로 통한다. ‘문언(文言)’은 ‘글에 의지해서 그 이치를 말함’이다. 64괘 중 중천건괘와 중지곤괘.. 2025. 2. 24. 18가지 해석 규칙 정약용은 [독역요지]를 통해 의 해석 규칙으로 18가지를 제시한다. 제1칙은 추상(抽象)이다. 역(易)의 괘효는 만물의 상징을 다 갖추고 있으나, 역사(易詞)에서는 만물의 상징 중 오직 한 가지 상만을 뽑아 특정한 상황을 표현하도록 한다. 제2칙은 해사(該事)이다. 해사는 여러 가지가 섞인 일이다. 하나의 점사는 서로 다른 맥락으로 구성된 몇 가지 사건을 모아 놓은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완결된 문장으로 읽으면 안 된다. 제3칙은 존질(存質)이다. 오직 바탕이 되는 추상적인 괘덕만 표현한 경우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은 오히려 모든 사물이나 사건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4칙은 고명(顧名)이다. 괘의 이름이 붙여진 연유 즉 본덕, 추이, 물형 등을 생각해봐야 한다. .. 2025. 2. 23. 4괘 1상 본괘는 설시(揲蓍) 등의 방법으로 처음에 얻은 괘다. 본괘로만 보면 내괘가 체(體)이고, 외괘와 호괘는 용(用)이 된다. 예를 들어 수뢰둔괘(䷂)에서 체는 진뢰(☳)이고 용은 감수(☵), 곤지(☷), 간산(☶)이 된다. 지괘(之卦)는 본괘에서 효가 움직여 변해간 괘이다. 본괘가 체(體)가 되고 지괘는 용(用)이 된다. 예를 들어 본괘 중천건(䷀)의 2효사는 ‘나타난 용이 밭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로움’[見龍在田 利見大人]이다. 이는 2효가 변한 지괘 천화동인(䷌)의 괘사 ‘광활한 들판에서 사람들과 함께 하면 형통하리니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며 군자의 바른 도로 함이 이로움’[同人于野 亨 利涉大川 利君子貞]과 상통한다. 배합괘(背合卦)는 본괘에서 음을 양으로 양을 음으로 변하게 해서 형성된 괘이다.. 2025. 2. 22. 이전 1 2 3 4 5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