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상이상(想像理想) 이야기/치유와 수련의 필사(筆寫)69

동의보감; 혈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 사물탕 동의보감 614쪽 혈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 모든 출혈이 있는 병에는 사물탕, 보영탕, 보명생지황산, 청열자음탕, 감리고, 고영산, 혈여산, 측백탕, 동자뇨를 두루 쓴다. 사물탕 혈병을 두루 치료한다. 숙지황ㆍ백작약ㆍ천궁ㆍ당귀 각 한 돈 두 푼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 어떤 처방에서는 봄에는 천궁을, 여름에는 백작약을, 가을에는 숙지황을, 겨울에는 당귀를 두 배로 쓴다고 하였다. ○ 봄에는 방풍을, 여름에는 황금을, 가을에는 천문동을, 겨울에는 계지를 더 넣는다.(의학강목) ○ 당귀는 혈을 고르게 하여 제 경락으로 돌아가게 하며, 작약은 혈을 서늘하게 하고 신(腎)을 보하며, 생지황은 혈을 만들고 심(心)을 편안하게 하며, 숙지황은 혈을 보하고 신을 북돋아 주며, 천궁.. 2023. 3. 1.
동의보감; 혈병에 약 쓰는 법 동의보감 612쪽 혈병에 약 쓰는 법 주진형(단계)은 “혈을 치료하는 약을 쓸 때는 그저 피를 돌리는 약이나 막는 약만을 써서는 안 된다. 서늘한 약을 쓸 때믄 술에 찌거나 술에 축여 볶아 쓰는데, 이것은 약이 차기 때문에 덜게 하여 쓰는 것이다” 또 “혈증을 오래 앓아서 혈이 돌아갈 곳으로 돌아가지 못하여 약을 오래 먹어도 낫지 않는 데는 천궁을 군약(君藥)으로 쓰면 낫는다”고 하였다. ○ 대체로 혈이 열을 만나면 잘 돌고 찬 기운을 받으면 엉기며 검은 것(재라고 한 곳도 있다)을 만나면 그친다. ○ 구혈이나 토혈을 할 때 피가 많지 않으면 반드시 흉격에 어혈이 쌓인 것이니 먼저 어혈을 없앤 다음 피를 서늘하게 하여 피를 그치게 하여야 한다. 어혈을 없애는 데는 서각지황탕을 쓰고, 혈을 서늘하게 하는 .. 2023. 2. 23.
동의보감; 십회환, 금기 동의보감 608쪽(4) 십회환 혈붕과 모든 출혈을 치료한다. 누런 비단(태운 것), 말꼬리(태운 것), 우절(태운 것), 애엽(태운 것), 포황(태운 것), 연봉(태운 것), 유발(태운 것), 종려(태운 것), 적송피(태운 것), 햇솜(태운 것)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로 쑨 찹쌀죽으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미음으로 백 알씩 먹는다. 609쪽 금기 『내경』에서는 “짠맛은 혈로 가므로 혈병에는 짠 것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고, 또 “오래 보면 혈을 상한다”고 하였다. 혈이 부족하거나 혈허한 사람에게 침을 놓아 피를 많이 내는 것은 금기이다. *애엽(艾葉):약쑥의 잎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속이 냉하여 생긴 복통과 요통, 부인병에 약재로 쓰며 뜸 뜨는 데도 쓴다. *포황(蒲黃).. 2023. 2. 19.
동의보감, 십회산 동의보감 608쪽(3) 십회산 구혈, 토혈, 각혈, 수혈과 허로로 심하게 토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대계ㆍ소계ㆍ측백엽ㆍ박하엽ㆍ백모근ㆍ천근ㆍ치자ㆍ종려피ㆍ목단피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소존성으로 태워 화독을 없애고 아주 곱게 가루내어 생우즙이나 무즙, 또는 좋은 먹물 반잔에 다섯 돈씩 타서 먹으면 곧 그친다. *구혈(嘔血): 위나 식도 따위의 질환으로 피를 토함. *토혈(吐血): 위나 식도 따위의 질환으로 피를 토함. 또는 그 피.≒구혈. *각혈(咯血): 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가래를 토함. 또는 그런 증상. 결핵, 암 따위로 인해 발생한다.=객혈. *대계(大薊): ‘엉겅퀴’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지혈제로 쓴다. *소계小薊): ‘조뱅이’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지혈, 이뇨, 해독에 쓴다.≒자계. *백모근(.. 2023.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