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역으로 글쓰기/글쓰기로 자강불식하는 주역(두마리)

산지박괘(山地剝卦䷖), 깎이는 상황이라면

by 두마리 4 2023. 10. 28.

산지박괘(山地剝卦䷖), 깎이는 상황이라면

 

剝 不利有攸往

初六 剝牀以足 蔑貞 凶

六二 剝牀以辨 蔑貞 凶

六三 剝之无咎

六四 剝牀以膚 凶

六五 貫魚 以宮人寵 无不利

上九 碩果不食 君子 得輿 小人 剝廬

 

산지박괘(山地剝卦䷖)는 어떤 상황인가. ‘()’벗김’, ‘깎음이다. 벗기고 깎일려면, 쌓이거나 솟아 있어야 한다. 박괘(剝卦䷖)는 위에 간괘(艮卦)인 산이 있고, 아래에 곤괘(坤卦)인 땅이 있다. 땅 위에 산이 솟아 있는 모습이다. 솟아 있으니 그 다음은 깎인다. 대체로 높이 솟은 것은 대부분이 욕망의 성취를 상징한다. 그 반대로 깎이는 것은 높게 성취한 바가 박탈당함을 의미한다. 박괘는 괘사나 효사도 대체로 흉하다.

 

()가 변하는 추이로 보면 산지박괘(山地剝卦䷖)는 양강(陽剛)이 음유(陰柔)에 깎여 하나만 남은 형국이다. 음효가 하나인 천풍구(天風姤䷫)에서 천산둔(天山遯䷠), 천지비(天地否䷋), 풍지관(風地觀䷓)으로 음이 자라나 산지박(山地剝䷖)이 된다. 그 다음은 중지곤(重地坤䷁)이 되고, 그 다음은 지뢰복(地雷復䷗), 지택림(地澤臨䷒), 지천태(地天泰䷊), 택천쾌(澤天夬䷡)로 양강(陽剛)의 효가 자라나기 시작한다.

 

깎여나가는 상황에서는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 괘사(卦辭)가는 바가 있음이 이롭지 않다고 말한다. 군자(君子)나 대인(大人)의 입장이다. 소인(小人)은 가는 바가 있어도 이로울 수 있따. ()이 쇠퇴하고 음()왕성한 형국이기 때문이다.

 

주역의 이치는 한 글자로 하면 변()이다. 다른 말로 소식(消息) 영허(盈虛)이다. ()는 사라지고 약해지는 것이고, ()은 생겨나고 자라는 것이다. ()은 차는 것이고, ()는 비는 것이다. 우주 만물은 생겨나서 자라고 약해져서 사라지고, 가득 찼다가 텅 비는 변화를 반복하면서 시시때때로 변한다. 안부(安否)를 묻는 것은 편안함과 편안하지 않음을 묻는 것이다. 소식(消息)을 전하는 것은 어떤 상황이 약해지는지 자라는지를 전하는 것이다.

 

소식(消息)의 식()은 쉬는 것이고 호흡(呼吸)이다. ()는 날숨이다. ‘()’의 발음은 내쉬는 숨에 만들어진다. ()은 들숨이다. ‘()’의 발음도 들이쉬는 숨에 만들어진다. 쉰다는 것은 호흡을 가다듬는 것이고, 호흡함으로써 자란다. 이식(利息), 자식(子息) 등의 낱말에도 자라는 의미가 함축돼 있다.

 

호흡을 말하다 보니 옛날에 들었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시답잖게 어이없는 슬픈 웃음을 유발하지만, 딱딱한 주역 이야기에 양념으로 얹어본다. 옛날에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마주앉아 미숫가루를 먹었다. 며느리가 물었다. “어머님은 고향이 어디세요?” 공교롭게 시어머니가 미숫가를 한 숟가락 입으로 탁 틀어넣는 때였다. 시어머니는 ...”하다고 미숫가루에 목이 막혀서 죽었다. 시어머니 고향은 합천이었는데, ‘은 숨을 들이쉬게 만들고 은 내뱉게 만든다. “이라는 두 번째 말을 했다면 목을 막은 미숫가루가 튀어나오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재미삼아 지어낸 얘기 같지만, 들이쉬는 내쉬는 발음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만든다.

 

산지박괘(山地剝卦䷖)의 상황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아예 박괘와 같이 깎여 나갈 수 있는 쌓이거나 높은 위치를 만들지 않아 원천적인 토대를 봉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지위든 재화든 많이 쌓아 높이 올라가려고 한다. 이미 높다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까? 겸손해야 한다. 높지 않은 것처럼 자세를 낮춰야 한다. 지산겸(地山謙䷎)의 자세이다. 박괘(剝卦䷖)의 위, 아래 괘 위치를 바꾼 역위생괘이다. 깎여나간 부분을 두텁게 채우는 것도 하나의 대응 방법이다.

 

초육은 상의 발을 깎음이니(()을 깎아내어 발에 이르렀으니) 바른 것을 멸함이라. 흉할 것이다.” 점괘로 보면 흉()한 조짐이다. 발이나 다리, 신체의 아랫부분이 다치거나 병들 수 있다. 조심하되 특히 발이나 다리 등을 다치는 데 더 유의해야 한다. 발은 맨 아래 있고, 온몸을 모두 떠받치며 지탱한다. 비유로 보면 이와같은 근본적이고 기초적인 데 탈이 생길 수 있는 조짐이다. 자리로 보면 양()의 자리에 있는 음()으로 실위(失位). 소성괘의 중간이 아니므로 중정(中正)도 아니다. ()으로 보면 4효가 음()이기 때문에 불응(不應)이다. ()로 보면 2효가 음효이기 때문에 불비(不比 ). 침상의 다리()을 깎는 것으로 보든, ()이 깎이는 것으로 보든 소인이 성장하여 군자나 대인이 깎이는 상이다. 박괘(剝卦䷖)의 모양도 침상의 다리가 붕괴되는 것과 비슷하다.

 

(2~6효는 다음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