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으로 글쓰기118 밝음이 땅속으로 들어가 지화명이괘(地火明夷卦䷣) 명이(明夷)는 ‘밝은 게 상함’이다. ‘상처받은 밝음’이다. 위에 땅[地]인 곤(坤)괘가 있고, 아래에 해[火]인 리괘(離卦☲)가 있다. 해가 땅 밑에 있는 형상이다. 밝음이 땅속으로 들어가 그 밝음이 가려져버린 모습이다. 어둡고 혼란한 암흑의 시대이다. 이럴 때엔 ‘밝음을 그믐으로 한다’. ‘그믐을 써서 밝힌다’. 자신의 재능이나 명성, 지혜를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밝지 않은 것이 밝음이 되는 때이다. 명이괘(明夷卦䷣)는 은나라 말기 주(周)나라 초기의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괘사와 효사가 이루어졌다는 게 일반적이 해석이다. 은나라 말 주(紂)왕이 폭정을 할 때 간(諫)하는 세 사람의 현인(賢人)이 있었다. 미자(微子), 비간(比干), 기자(箕子). 미자는 최선을 다하다가 .. 2023. 12. 25. 땅 위에 해가 솟아 오르듯 35. 화지진(火地晉䷢) 괘이름 진(晉)은 무슨 뜻인가. ‘진(晉)’은 ‘나아감’이다. 위로 올라가는 승진이고 발전이다. 성대해지고 전성기의 한 복판이다. 화지진(火地晉䷢)의 괘상(卦象)은 어떤가. 위에는 리괘(離卦☲)인 불ㆍ해가 있고, 아래에는 곤괘(坤卦☷)인 땅이 있다. 땅 위에 해가 솟아 오르는 모양이다. 태양이 지상으로 나와 온 천하를 밝게 비추는 모습이다. 괘사(卦辭). 晉 康侯 用錫馬蕃庶 晝日三接 진은 (나라를) 편안케 하는 제후에게 말을 많이 주고 하루에 세 번을 접하도다. 군자는 이 괘를 본받아 본래 타고난 밝은 덕을 밝게 한다. 이는 『대학(大學)』의 ‘명명덕(明明德)’과 같다. 효사(爻辭). 초육은 나아가는 듯 꺾이는 듯함에 바르게 하면 길하고, 믿지 못하더라도 넉넉하게 하면 허물이 없.. 2023. 12. 21. 크고 장성하다면 뢰천대장(雷天大壯䷡) 사람들은 대체로 큰 것을 더 좋아한다. 과일도 곡식도 가축도 큰 것이 더 상품(上品)이다. 크다고 좋은 것만이 아니고, 작은 것은 더 좋을 경우도 많은데 사람들은 더 큰 것을 추구한다. 큰 것이 절대적으로 좋은 것이 아니라는 것은 계속 확장해보면 대번에 알 수 있다. 사과나 배가 큰 것이 좋다고 한 알이 축구장 만해도 좋아하겠는가. 사람도 키 큰 사람을 좋기로서니 3미터 넘는 장신을 좋아하겠는가. 큰 것을 좋아하게 된 연유(緣由)는 알겠다. 똑 같은 품종이고 거의 똑 같은 환경에서 자랐다면 큰 것이 생장이 탈이 없었던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영양가든 맛이든 큰 것이 더 우월하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괜히 석과불식(碩果不食)이란 말이 나온 게 아닐 것이다. 또 아름다움 미(美)에.. 2023. 12. 15. 은둔 물러나거나 숨거나 피해야 할 때인가, 자리를 지키거나 맞서 싸워야 할 때인가. 상황에 따라, 역량에 따라, 이해득실에 따라, 상대에 따라 다르리라. 주역(周易) 천산돈괘(天山遯卦䷠)의 돈(遯)은 ‘피함’, ‘물러남’, ‘숨음’이다. 돈괘에서는 소인(小人)이 득세하여 어지러운 때를 물러나야 할 때로 말하고 있다. 위에는 건괘(乾卦☰)가 있고 아래에는 간괘(艮卦☶)가 있다. 전체로 보면 아래에 음효(陰爻) 두 개가 자라 올라가고 있고, 양효(陽爻) 네 개는 밀려나고 있다. 음효는 소인(小人)을, 양효는 대인(大人)을 상징한다. 이러한 때는 물러나야 형통하고 바르게 해야 조금의 이로움이 있을 뿐이다. B급 이론이 생각난다. 어떤 조직을 구성할 때 B급을 장(長)으로 앉히면 동급이나 그 이하 수준의 사람으로 조.. 2023. 12. 1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