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636쪽
음사(陰邪)는 꿈을 꾸게 한다
황제가 물었다. “음사가 퍼져서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기백이 “정사(正邪)는 밖으로부터 몸 안으로 침입하는데, 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어서 도리어 장부로 스며든다. 일정하게 머물 곳을 얻지 못하고 영위(榮衛)와 더불어 돌아다니며 혼백과 함께 떠돌아다니므로 잠자리가 불안하고 꿈을 잘 꾸게 된다. 그러므로 음기(陰氣)가 성하면 큰물을 건너게 되어 두려워하는 꿈을 꾸고, 양기(陽氣)가 성하면 큰불이 타오르는 꿈을 꾸고, 음양 모두가 성하면 서로 죽이는 꿈을 꾸게 된다. [사기가] 상초(上焦)에서 성하면 날아다니는 꿈을 꾸고, 하초(下焦)에서 성하면 떨어지는 꿈을 꾸게 된다. 몹시 배고프면 무엇을 갖는 꿈을 꾸고, 몹시 배부르면 무엇을 주는 꿈을 꾼다. 간기(肝氣)가 성하면 성내는 꿈을 꾸고, 폐기(肺氣)기 상하면 우는 꿈을 꾸고, 심기(心氣)가 성하면 잘 웃거나 두려워하는 꿈을 꾸고, 비기(脾氣)가 성하면 노래를 부르거나 몸이 무거워 움직이지 못하는 꿈을 꾸고, 신기(腎氣)가 성하면 허리뼈가 둘로 나뉘어 붙지 않는 꿈을 꾼다”고 하였다.
*음사(陰邪): 사기(邪氣) 가운데 음(陰)의 성질을 지닌 것. 한사(寒邪), 습사(濕邪)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정사(正邪): 바른 일과 사악한 일. 정기(正氣)와 사기(邪氣).
*영위(榮衛): 영혈(營血)과 위기(衛氣)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영혈: 섭취된 음식물에서 변화된 영양물질과 이로부터 생기는 혈액을 이르는 말. 위기(衛氣): 몸의 겉면에 흐르는 양기(陽氣). 땀구멍을 여닫는 기능으로 외부 환경에 잘 적응하게 하면서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초(上焦): 삼초(三焦)의 하나. 가로막 위의 부위로 심(心)과 폐(肺)를 포함한다. 삼초: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를 통틀어 이르는 말. 상초는 가로막 위, 중초는 가로막과 배꼽 사이, 하초는 배꼽 아래의 부위에 해당한다.
*간기(肝氣): 간의 정기(精氣). 간의 정기가 눈과 통하여 있으므로 간기가 고르면 눈이 맑고 잘 보인다. 간의 기능. 간기가 원활하게 소통되지 못하고 한곳에 몰려 있는 증상. 양 옆구리가 그득하고 뻐근하며, 우울하고 화를 잘 낸다. =간기울결.
'상상이상(想像理想) 이야기 > 치유와 수련의 필사(筆寫)'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장(五藏)의 허와 실에 따라 꿈이 된다 (1) | 2023.04.10 |
---|---|
사기(邪氣)가 침입하면 (0) | 2023.04.06 |
동의보감; 혈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 사물탕 (0) | 2023.03.01 |
동의보감; 혈병에 약 쓰는 법 (0) | 2023.02.23 |
동의보감; 십회환, 금기 (1) | 2023.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