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火雷噬嗑 (화뢰서합)
䷔ (우레 위의 빛 - 離上리상 震下진하)
서합噬嗑괘는 발전을 의미한다. 위턱과 아래턱 사이에 물건이 끼어 있는 것을 씹고 있는 상태가 서합이다. 그 끼어 있는 물건을 씹어 끊으면 아래윗니가 서로 맞아서 형통하게 된다.
강강剛强을 상징하는 양 괘(진震)와 유화柔和를 상징하는 음 괘(리離)가 나누어져 있어 강성한 활동과 지성의 혁명을 갖췄으며 뇌명진雷鳴震괘와 전광리電光離괘가 합쳐 있어 위엄이 있고 빛이 있으니, 음효가 상괘의 중위를 얻어 왕자의 위치에서 정치를 행하니 비록 그 지위가 적당하지 못하나(오효는 양효의 위치이므로) 형벌을 시행하기에 좋다.
대상大象 - 뇌명의 위력과 전광의 밝음을 겸비한 것이「서합」의 괘상이다. 옛날 착한 군주는 이 괘상을 보고 형벌을 밝게 하고 법령을 정비하였다.
초양初陽- 발에 차꼬가 채워져 걸어가지 못한다. 스스로 반성과 경계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初陽은 가장 아래 위치에 있으면서 스스로 양효임을 과신하여 위에 있는 이효, 삼효가 음효라고 하여 위를 두려워하지 않고 방자하므로 징벌을 가하여 반성하게 한다고 풀이한 것이다. )
이음 二陰- 남의 살을 깨물다가 도리어 자기의 코를 상한다. 그것은 강강한 자의 위에 있어서 제재하려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허물이 없으리라.
(초효가 양효여서 강강한 것을 의미하는바 이효가 음효로서 그 위의 지위에 있어서 양효의 방자를 제재하려 하니 마치 남의 살을 깨물다가 도리어 자신의 코를 상함과 같은 일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자기가 하여야 할 정당한 일을 하는 것이니 비록 한때의 문제가 있을지라도 무슨 허물이 있으랴.)
삼음三陰- 굳은 말린 고기를 깨물다가 중독된다. 정당한 지위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반발에 부딪혀 한때 곤경에 빠지나 허물은 없으리라.
(부정한 자를 제재하려다 반발을 받아 한때 난처한 지경에 빠지는 일이 있으나 마침내 허물을 면하게 된다는 뜻이다. 정당한 지위에 있지 않다는 것은 삼효는 원래 양효가 있어야 할 위치인데 음효가 거기에 있는 것은 정당한 위치가 아니라고 해석한 것이다.)
사양四陽- 뼈 붙은 굳은 말린 고기를 깨물다가 그 속에서 쇠 활촉을 얻는다. 아직은 크게 발전하지 못하나 어려운 일에 견디면서 초지일관하여 변함이 없으면 내포되어있는 새로운 사태를 발견하여 길하리라.
오음五陰- 말린 고기를 깨물다가 그 속에서 황금을 얻는다. 한결같이 타당성을 가진 처사로써 변함이 없으면 위험은 있으나 빛나는 진실을 발견하여 허물이 없으리라.
상양上陽- 목에 수가(首枷)가 채워져 귀의 청각을 상실한다. 충언을 받아들이지 않아 형벌에 처하게 된다. 흉하다.
후기(後記)
「서합」은 씹는다는 뜻이다. 이 괘의 형태를 보면 맨 아래에 있는 초 효와 제일 위에 있는 상효가 양효로서 마치 아래턱과 위턱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중간에 있는 여러 음효는 이빨과 같은 형태를 보인다. 이 이빨들 사이에 양효인 제 사효가 있어 마치 아래윗니 사이에 물건이 놓여있는 것 같다. 그래서 괘 전체의 모양은 물건을 씹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 괘의「서합」은 이러한 형태에서 명명된 것이다.
사람이 무엇을 씹으려면 아래 위턱이 협력하여 상·하의 이빨들이 서로 맞닿아야 하는 것이며, 그러한 작용으로 식물을 완전히 분쇄하여야만 체내로 보내어 소화되고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나라의 임금과 신하, 윗사람과 아랫사람들의 마음과 힘이 서로 합치하여 나라 안에 있는 어지럽고 저항 있는 일들을 처리함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이 괘에서는 그 나라 안의 어지러운 일, 저항 있는 일을 처리하는 것을 형벌과 징계의 행사라고 보고 있다.
「화뢰서합」은 형벌과 징계를 의미하는 괘다. 이 괘는 우레를 의미하는 진 괘가 아래에 있고, 불을 의미하는 리 괘가 위에 있다. 이것은 우레가 울고 번개가 번쩍이는 엄숙하고 두려운 광경을 상징한 것이다.
이것은 나라에 신념이 강하고 위신이 떨치는 영매한 군주가 있어서 국정의 일대 개혁을 수행하는 상태와 같은 것이다. 국정을 개혁하려면 국가의 발전과 인민의 복지를 저해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여야 한다.
안으로 부정과 부패를 없이 하고 불법과 횡포를 처단하고 질서의 파괴와 그리고 국가와 국민을 적대하는 저항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며, 밖으로 침략을 막고 포학하고 정의에 어긋나는 적을 정벌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우레가 울고 번개가 번쩍이는 하늘의 성냄과 같은 위엄과 큰 힘을 가져야만 성취할 수 있는 사업인 것이다. 이러한 일을 수행하는 데는 수많은 장애물과 어려운 고비가 가로막혀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 장애물들을 제거하고 어려운 고비들을 돌파하는 것은 군주 한 사람으로 될 수는 없다. 군주와 신하와 인민들의 상하 협력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무릇 어떠한 큰일이라도 그것을 성취하려면 일치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가령 한 개의 큰 돌을 움직일 경우일지라도 같은 순간에 같은 방향을 향하여 힘을 주지 아니하면 안 될 것이다. 갑은 A 방향으로 을은 그 반대 방향으로, 병은 또 다른 방향으로 힘을 보내거나, 갑이 힘쓸 때 을은 쉬고 을이 힘쓸 때 병은 보고만 있다면 그들은 움직이지 못하고 말 것이다. 한 개의 큰 돌을 움직임도 이러하거늘 하물며 나라의 일대 개혁을 수행하는 일에 상·하의 협력 일치 없이 이룩할 수 있겠는가. 이 상·하의 협력하는 힘의 강도가 크면 클수록 개혁에 성공할 확률은 높은 것이다. 아무리 작은 경우라도 장애물의 저항력보다 큰 힘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것은 입속에 넣은 굳고 단단한 말린 고기를 물어 끊는 아래윗니의 합치는 힘과 같은 것이라고 이 괘는 설명하고 있다. 그 말린 고기의 강도가 강할수록 깨무는 힘은 더욱 커야 하며, 그 과정에서 허다한 어려움이 있음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을 물어 끊기만 하면, 즉 완전 저작이 가능하게 되면 맛을 즐길 수 있고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형벌과 징계를 시행할 수 있게 되면 선량한 것이 사악한 것을 이길 수 있고 정의가 부정을 물리칠 수 있게 되어 국정의 개혁은 가능하게 된다. 그러하면 국력은 발전하고 국민은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역〉은 이렇도록 형벌과 징계를 크게 평가하고 있다. 진정 인간의 집단생활에 징계와 형벌은 없을 수 없는 것이다. 인간은 개개인이 모두 신의 아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인간의 생활에는 개인의 사리사욕과 공공의 복리는 서로 모순되는 경우가 많다. 또 나의 이해가 남의 이해와 충돌되는 경우도 많다.
그렇기에 인간에게는 자제와 극기의 고통을 참아야 하고 남과 나, 사리와 공익의 최대 한계선을 분간할 줄 아는 양심이 있어야 한다. 이 한계선을 한 발자국 넘어서면 벌써 그만큼 남의 권익을 침해한 것이며 공공의 복리를 파괴한 것이 된다. 그것은 바로 남의 권익의 침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결국은 자신의 권익도 누구에게 파괴당하고 말 것이며, 공공의 복리가 파괴되고 그 속에서 살아야 하는 개인의 복리가 혼자 남을 수도 없는 것이다.
마침내는 나라가 혼란하여지고 인민이 도탄에 빠지고 불의가 날뛰는 세상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넘어서는 안 되는 최후의 한계선을 지키기 위한 최종의 방법이 징계와 형벌인 것이다. 인간이 국가라는 공동생활을 시작한 이래, 아니 그 이전부터 징계와 형벌은 있었으며 앞으로도 인류역사가 계속하는 동안 함께 할 것이다.
징계와 형벌의 목적이 인간의 질서와 정의와 공동의 복리를 수호하기 위한 것인 이상 사람에게 자유를 제한하고 고통과 노력을 부과하며, 사회와 격리하고 심하면 인간에서 제거하는 제재가 비난당할 수는 없는 것이다. 차라리 찬양되어야 할 것이다. 〈주역〉이 형벌을 높이 평가한 이유가 실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다만 그 형벌이 공명정대하여야 하고, 지나치게 가혹하지 밀아야 하며 또 형벌이 죄인에게 고통을 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는 고려 밑에서 수행되기를 바랄 뿐이다. 다수자의 행복과 정의를 위하여 눈물을 머금고 죄인을 벌한다는 생각을 형벌권자는 항상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므로 「죄를 미워하고 사람을 미워하지 않는다」라는 것이다.
현대의 법과 그것을 다루는 경향이 점차로, 비록 죄인일지라도 그의 인권을 존중하기 위하여 신중한 고려와 세심한 보호를 아끼지 않는 방향으로 옮겨 가고 있는 것은 인간의 현명이 상승하고 있음을 증언하는 것으로서 자랑스러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이 괘는 현명한 지성과 과감한 결단과 적극적인 활동으로 주저하고 인순함이 없이 나아가 쾌도가 난마를 처리하듯 난국에 대처할 것을 암시한 것이다. 그리하려면 먼저 자신의 자세가 올발라야 하며 자신의 실력에 자신이 있어야 할 것은 반드시 갖춰야 할 전제조건인 것이다.
이 괘는 뇌명・전광 같은 강성한 운세인 것이다. 그러나 모든 이 괘를 얻은 이는 먼저 이 운세를 구사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괘풀이
입안에 있는 굳고 딱딱한 말린 고기를 물어 끊어서 완전 저작이 가능하게 되면 만사가 형통하는 형상이다.
무엇이 이 사이에 끼어 있는 것처럼 방해가 있어서 불유쾌한 기분이다. 그러나 처음은 여러 가지 장애가 있으나 단호한 태도로 대처하면 점차 호조로 전환할 것이다. 조급히 굴지 말고 신경질적인 행동을 조심하며 온화하게 나가면 생각 밖에 행복이 가까이 있음을 알리라.
이 괘는 매우 길운인 것이다. 특히 상업에 강운이다. 신규사업 등은 난관은 있으나 성공할 것이다.
〔운수〕자기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초조하고 있는 형상이나 단호한 태도로 전진하면 장애는 제거될 것이다. 뱃심으로 밀고 나가라.
〔소망〕남의 방해가 있어서 급속히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혼담〕피차간에 방해가 있다. 친척의 반대가 있어서 진전되지 않는다.
〔임신〕순산한다. 아들이다. 그러나 입덧이 심할 듯하다. 편식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건강〕신경쇠약이나 히스테리 증세면 오래 끌 우려가 있다. 어금니가 좋지 못하다. 자신이 자동차를 운전할 때는 운전에 조심하라
〔교섭·분쟁〕사이에 사람을 넣으면 복잡하여진다. 소송이 일어날지도 모른다. 요주의.
〔여행〕단시일에 돌아오는 여행이면 무관하나, 가벼운 말다툼 같은 것이 있을지도 모른다.
〔분실〕무엇의 사이나 아래에 있다.
〔사람, 소식을 기다림〕방해가 있어서 이제 곧 오지 못하나 이쪽에서 연락하면 올 가능성도 있다.
〔재수〕한손으로 받아 다른 한 손으로 내주는 상태.
〔증권·상품시세〕당장은 억제되고 있으나 천천히 상승한다.
이 글은 1976년 성균서관에서 출판된 남만성(南晩星)선생의 『주역周易』을 원문 그대로 옮겨놓은 글입니다. 오래된 책이라 이미 절판되었으나 그냥 묻혀버리기엔 아까운 콘텐츠여서 보다 더 오래,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이곳에 게재합니다. 재출간 가능성이 있을까싶어 저작권자와 출판권자를 확인하고 있는 중이지만,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혹시 저작권자 등이 확인되거나 문제제기가 있을 경우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 |
'주역으로 글쓰기 > 남만성선생『주역』(+에세이,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천소축- 꾸준하게 준비한 자여! 때가 멀지 않았다. (1) | 2024.03.07 |
---|---|
교착(交錯); 태평성대의 꿈, 지천태 (3) | 2024.01.26 |
산화비 ㅡ지나치지 않는 경지에서 멈추기 (1) | 2023.04.21 |
山水蒙(산수몽)괘 -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3)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