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맛[산미(酸味)]
신맛은 목(木)에 배속된다.
『예기』 「월령」에 이르기를 “봄에는 그 맛이 시고, 그 냄새는 누린내가 나니, 나무의 냄새와 맛이다”라고 했다.
『설문해자』에 이르기를, “누린내는 양(羊)의 냄새니, 봄에 물건의 기운이 양(羊)과 서로 같다는 것이다. 나무가 신맛인 것은 동쪽에서 만물이 생겨남을 상징한 것이니, 시다는 뜻의 산(酸)자는 뚫을 찬(鑽)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이 말은 만물이 땅을 뚫고 나온다는 말로, 다섯 가지 맛 중에 신맛을 얻어야 나오게 되는 것이다.
『춘추원명포』에 이르기를 “산(酸)의 뜻은 단정하다[단(端)]는 것이니, 기(氣)가 처음 나와서 전일할 때는 그 마음이 단정하다는 것이다”라고 했다.
『하도』에 이르기를 “끝없이 신 것을 먹으면 간장(肝臟 간)의 기운이 성해지고 비장(脾臟 지라)의 기운은 쇠약해져서, 사람으로 하여금 곡식을 소화하지 못하게 하고, 벙어리와 귀머거리가 되고 어혈(瘀血)이 들어 굳어진다”고 했다.
신맛은 목(木)에, 간장(간)도 목(木)에 배속되므로 신 것은 간장의 기운을 성하게 한다. 비장(지라)은 토(土)에 배속된다. 목(木)은 토(土)를 극하므로 신 것은 비장을 쇠약하게 한다.
간(肝)은 목(木)에 배속되고, 푸른색이다.
『황제내경』에 따르면, 간에 병이 있으면 매운맛을 금한다. 매운맛은 금(金)에 배속된다. 금(金)은 목(木)을 극(剋)하기 때문이다.
간의 병에는 깨, 개고기, 오얏(자두), 부추가 좋다. 이 음식들은 목(木)에 배속된다. 또 짠 것과 볍쌀, 쇠고기, 대추가 좋다. 이 음식들은 수(水)에 배속된다. 수(水)는 목(木)을 생(生)한다.
(2) 쓴맛[고미(苦味)]
쓴맛은 화(火)에 배속된다.
『예기』에 이르기를, “여름에는 그 맛이 쓰고, 그 냄새는 그을리며 볶는 냄새다”라고 하니, 화(火)가 쓴 까닭은 남쪽은 기르고 키우는 것을 주관하는 곳이며, 쓴 것은 기르고 크게 하는 것이므로, 다섯 가지 맛 중에 쓴 맛이 있어야 길러지는 것이다. 그을리며 볶는 냄새는 나는 것은, 양기(陽氣)가 찌는 듯이 움직여서 불기운으로 태우는 것이다.
『설문해자』에 이르기를, “볶는다는 것은 불로 물건을 태워서 볶고 타는 기운이 있는 것이니, 여름 기운과 같은 것이다”라고 했다.
『춘추원명포』에 이르기를 “쓰다는 것은 부지런히 노고를 아끼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곧 기를 수 있는 까닭이다”라고 했다.
『방언』에 이르기를 “괴로운 것이 지나면 쾌락이 온다”라고 했다.
『하도』에 이르기를, “끝없이 쓴 것을 먹으면 심장의 기운이 성해지고 폐장의 기운은 쇠약해져서, 사람을 과감하게 만들어 목숨을 가벼이 여기고, 기침하며 구역질하고 가슴이 차오르게 된다”고 했다.
쓴맛은 화(火)에, 심장(염통)도 화(火)에 배속되므로 쓴 것은 심장을 성하게 한다. 폐장(肺臟 허파)은 금(金)에 배속된다. 화(火)는 금(金)을 극(剋)하므로, 쓴 것은 폐장(허파)를 쇠약하게 한다.
심장(염통)은 화(火)에 배속되고 붉은색이다.
『황제내경』에 따르면, 심장에 병이 있으면 짠맛을 금한다. 짠맛은 수(水)에 배속되고, 수(水)는 화(火)를 극하기 때문이다.
심장의 병에는 보리, 양고기, 살구, 염교(매운 부추)가 좋다. 이 음식들은 화(火)에 배속된다. 또 목(木)에 배속되는 신 것, 개고기, 오얏(자두)가 좋다. 목(木)은 화(火)를 생(生)한다.
(3) 단맛[감미(甘味)]
단맛은 토(土)에 배속된다.
『예기』에 이르기를, “계하(季夏 늦여름, 음력 6월)에는 그 맛이 달고, 그 냄새가 향기롭다”고 했다. 토(土)의 맛은 단 것이고 중앙은 온화한 곳이니, 감미로운 것이다.
『설문해자』에 이르기를, “토(土)는 중화의 기운을 얻었기 때문에 향기롭다”고 했다.
『춘추원명포』에 이르기를, “달다는 것은 먹는 것은 통상적인 맛이니, 편안하게 음식 맛을 보는 것이다. 단 맛이 다섯 가지 맛의 주인이 되는 것은, 토(土)가 나머지 사행(四行)을 화합시키고 성취시키는 것과 같다. ‘냄새가 향기롭다’는 것은, 토(土)의 기운은 향기가 주(主)가 되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하도』에 이르기를, “끝없이 단 것을 먹으면 비장(脾臟 지라)의 기운이 성해지고 신장(腎臟 콩팥)의 기운은 쇠약해져서, 사람을 과감하게 만들어 목숨을 가벼이 여기고, 기침하며 구역질하고 가슴이 차오르게 된다”고 했다.
단맛은 토(土)에, 비장도 토(土)에 배속되므로 단 것은 비장(지라)의 기운을 성하게 한다. 신장(콩팥)은 수(水)에 배속된다. 토(土)는 수(水)를 극(剋)하므로 단 것은 신장(콩팥)을 쇠약하게 한다.
비장(脾臟 지라)은 토(土)에 배속되고 누런색이다.
『황제내경』에 따르면, 비장의 병에는 신맛을 금한다. 신맛은 목(木)에 배속되니 목(木)은 토(土)를 극(剋)한다.
비장의 병에는 닭고기, 복숭아, 기장, 파가 좋다. 또 쓴 것, 콩, 돼지고기, 밤이 좋다. 이 음식들은 화(火)에 배속된다. 화(火)는 토(土)를 생(生)한다.
(4) 매운맛[신미(辛味)]
매운맛은 금(金)에 배속된다.
『예기』에 이르기를, “가을에는 그 냄새가 비린내가 나고, 그 맛이 맵다”고 하니, 서방의 살기가 비린내 나는 것이다.
『설문해자』에 이르기를, “덜 익은 기운의 맛이 비린내 나는 것이다. 서방 금기(金氣)의 맛을 매운 것으로 상징한 것은, 물건이 매운 것을 만나면 위축되고 죽게 되기 때문이다”라고 했으며, 또 이르기를 “옛것을 새롭게 하는 것[신(新)]이 신(辛)이다. 그러므로 물건이 다 없어지고 새로운 물건이 이미 이루어졌기 때문에 신(新)이라고 했다”고 했다.
『춘추원명포』에 이르기를, “음(陰)이 해치기 때문에 매운 것이고, 죽이는 뜻이기 때문에 매운 것이니, 음기(陰氣)에 찔려서 그런 것이다”라고 했다.
『하도』에 이르기를, “끝없이 매운 것을 먹으면 폐장(肺臟 허파)의 기운이 성해지고 간장(肝臟 간)의 기운은 쇠약해져서, 사람을 나약하고 슬퍼하며 근심하게 하고, 눈이 멀고 털이 희어진다”고 했다.
매운맛은 금(金)에, 폐장(허파)도 금(金)에 배속되므로 매운 것은 폐장(허파)의 기운을 성하게 한다. 간장(간)은 목(木)에 배속된다. 금(金)은 목(木)을 극(剋)하므로 매운 것은 간장(간)을 쇠약하게 한다.
폐장은 금(金)에 배속되고 흰색이다.
『황제내경』에 따르면, 폐의 병에는 쓴맛을 금한다. 쓴맛은 화(火)에 배속되고 화(火)는 금(金)을 극한다.
폐의 병에는 찹쌀, 쇠고기, 대추, 미나리, 단 것, 보리, 양고기, 살구가 좋다. 이 음식들이 금(金)을 보하거나 생해준다.
(5) 짠맛[함미(鹹味)]
짠맛은 수(水)에 배속된다.
『예기』에 이르기를, “겨울에는 그 맛이 짜고, 그 냄새가 썩은 냄새가 난다”고 했다. 썩은 것은 물의 기운이니, 있는 듯도 하고 없는 듯도 한 물의 미미한 기운을 말한 것이고, 또한 물이 혼탁하고 더러운 때를 다 받아들임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 냄새가 썩은 냄새가 나는 것이다.
『설문해자』에 이르기를, “썩은 기운은 북방의 기(氣)와 같은 것이고, 맛이 짠 것은 북방의 물건이 짠 것이며, 짜기 때문에 굳어지는 것이다”라고 했으니, 다섯 가지 맛이 짠 것을 얻어 굳어지는 것과 같다. 또 “짜다는 것은 받아서 품는 것[위(衛)]이다”라고 했다.
『춘추원명포』에 이르기를, “짜다는 것은 낫으로 베어서 깨끗하게 하는 것이니, 지극히 추운 기운이기 때문에 깨끗하고 짜지게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하도』에 이르기를, “끝없이 짠 것을 먹으면 신장(腎臟 콩팥)의 기운이 성해지고 심장(心臟 염통)의 기운은 쇠약해져서, 광증(狂症)이 나게 하며, 코피가 잘 나고 피를 토해서 마음과 정신이 안정을 못한다”고 했다.
짠맛은 수(水)에, 신장도 수(水)에 배속되므로 짠 것은 신장(콩팥)의 기운을 성하게 한다. 심장(염통)은 화(火)에 배속된다. 수(水)는 화(火)를 극(剋)하여 짠 것은 심장(염통)을 허약하게 한다.
신장(腎臟 콩팥)은 수(水)에 배속되고 검은색이다.
『황제내경』에 따르면, 신장의 병에는 단맛을 금한다. 단맛은 토(土)에 배속되고, 토(土)는 수(水)를 극한다.
신장의 병에는 매운 것, 기장, 닭고기, 콩, 누런기장, 돼지고기, 콩잎이 좋다. 이 음식들은 수(水)를 생해준다.
『황제내경』에 따르면, “다섯 가지 맛이 입에 들어오면, 각각 길러주려고 달려가는 데가 있으며, 또 병들게 하는 데가 있다. 신 것은 힘줄로 달려가나 많이 먹으면 사람을 수척하게 만들고, 짠 것은 피로 달려가나 많이 먹으면 사람을 갈증나게 만들며, 매운 것은 기로 달려가나 많이 먹으며 사람을 공허하게 만들고, 쓴 것은 뼈로 달려가나 많이 먹으면 사람으로 하여금 경련이 일게 만들며, 단 것은 피부로 달려가나 많이 먹으면 사람으로 하여금 속이 불쾌해 토하게끔 만든다. 매운 것은 흩트리고, 신 것은 거두어 들이며, 단 것은 늦추고, 쓴 것은 굳게 하며, 짠 것은 적신다. 그러므로 오곡(五穀)으로 기르고, 오과(五菓)로 두여, 오축(五畜)으로 유익하게 해서 기운과 맛을 합당하게 복용하되, 사계절에 따라 오장의 마땅한 것에 맞춰야 한다”고 했다.
제철 음식을 골고루 넘치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적절하게 먹으라는 말씀!!
'주역으로 글쓰기 > 글쓰기로 자강불식하는 주역(두마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괘의 상징을 해석하는 열쇠 (1) | 2025.04.05 |
---|---|
두려움과 지천태괘 (0) | 2025.03.23 |
풍지관괘(風地觀卦䷓)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0) | 2025.03.11 |
신년운으로 화뢰섭합괘를 받았다면 (0) | 2025.03.08 |
주역(周易)과 은주(殷周) 교체기 (0)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