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생명에는 한계가 있으나 지식에는 한계가 없다. 한계가 있는 것으로서 한계가 없는 것을 따르면 위태하다. 위험한 줄 알면서 지식을 추구함은 더욱 위태로운 일이다.
선(善)을 행하되 명예에 가깝게 하지 말고 악(惡)을 행하더라도 형벌에 가깝게 하지 말며, 오직 중도(中道)로써 상도(常道)를 삼으면, 그로써 몸을 보존할 수 있고 삶을 온전히 할 수가 있으며 어버이를 봉양할 수 있고 천수(天壽)를 누릴 수 있다.
포정(庖丁)1) 문혜군2)을 위하여 소를 잡는데, 그 손을 놀리는 것이나 어깨로 받치는 것이나 발로 딛는 것이나 무릎을 굽히는 모양이나 쓱쓱 칼질하는 품이 음률에 맞지 않음이 없었다. 따라서 그 행동이 상림(桑林)의 춤3)에 맞고 경수(經首)4)의 장단에도 맞았다. 그래서 문혜군은 이렇게 말했다.
“참 잘한다. 재주가 여기까지 이를 수가 있는가?”
포정이 칼을 놓고 이렇게 대답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道)로서, 그것은 기술에 앞서는 것입니다. 처음 제가 소를 잡을 때는 눈에 보이는 것이 소뿐이었습니다. 그러나 3년 후에는 소가 보이지 않았고 지금에는 저는 영감(신(神))으로 대할 뿐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감각 기관은 쉬고 영감(靈感)이 가는 대로 움직입니다. 그래서 소 몸뚱이 조직의 자연적인 이치를 따라서 뼈와 살이 붙어 있는 틈을 젖히는 것이나 뼈마디에 있는 큰 구멍에 칼을 집어넣는 것이나 모두 자연의 이치를 따라 갈라져 나갑니다. 그래서 그 기술은 뼈와 살이 합친 곳에서는 칼이 걸린 적이 한번도 없는데 하물며 큰 뼈에 부딪치는 일이야 있겠습니까?
훌륭한 포정은 1년에 한 번 칼을 바꾸는데 그것은 살을 베기 때문이며, 보통 포정은 한달에 한 번 칼을 바꾸니 그것은 뼈에 칼이 부딪쳐 칼이 부러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저의 칼은 19년 동안이나 썼고 또 잡은 소도 수천 마리나 되지만, 그 칼날은 지금 막 새로 숫돌에다 간 것 같습니다.
저 뼈에는 틈이 있고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가 없는 것으로써 틈이 있는 데다 넣으므로 넓고 넓어 그 칼날을 휘둘러도 반드시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19년이나 되었어도 그것은 지금 막 숫돌에다 갈아낸 것 같습니다. 그러나 막상 뼈와 심줄이 한데 얽힌 곳을 만났을 때에는 저도 그 다루기 어려움을 보고 조심하여 곧 눈길을 멈추고 행동을 천천히 하며 칼을 놀리는 것도 매우 미묘해집니다. 그러다가 쩍 갈라지면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듯 고기가 와르르 헤집니다. 그때야 칼을 들고 일어서서 사방을 둘러보며 머뭇머뭇 만족해하며 칼을 잘 닦아 집어넣습니다.”
문혜군인 그 말을 듣고 이렇게 말했다.
“훌륭하구나.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법(養生法)을 배웠도다.”
공문헌이 우사(右師)를 보고 놀라 물었다.
“이 어찌 사람인가? 어째서 외발이 되었는가? 하늘이 그렇게 만들었는가? 사람이 그렇게 만들었는가?”
우사는 대답했다.
“하늘이 그렇게 만든 것이지 사람이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닙니다. 하늘이 나를 낳을 때 외발로 만들었습니다. 사람의 모양은 하늘이 부여한 것이라 하늘이 이렇게 만든 것으로 알고 사람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늪에 사는 꿩은 열 걸음 가다가 한 번 먹이를 쪼아먹고 백 걸음 가다가 한 번 물을 마시면서도, 둥우리 안에 갇혀 길러지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원기는 비록 왕성해질지 모르지만 마음이 즐겁지 않기 때문입니다.”
노담(老耼5)이 죽었을 때 진일(秦佚)이 가서 조상(弔喪)을 하는데 세 번 곡을 하고 나와 버렸다. 이를 본 진일의 제자가 물었다.
“그 분은 선생님의 친구가 아니었습니까?”
“그렇네.”
“그렇다면 조상을 그렇게 해서 되겠습니까?”
“그럴 걸세. 처음에도 나도 그가 훌륭한 사람이라고 여겼었는데 이제 보니 그렇지가 않네. 아까 내가 들어가 조상을 할 때 늙은이는 마치 자기 자식이나 잃은 듯이 곡을 하고, 젊은이는 마치 자기 어머니나 돌아간 듯이 곡을 하데. 그가 사람의 정을 이렇게 모은 까닭은 반드시 그가 사람들에게 칭찬하는 말을 해달라고 요구는 안했을망정 칭찬하는 말을 하게 작용했고, 곡을 해달라고 요구는 안했어도 곡을 안 할 수 없도록 작용을 가했기 때문일세. 이것은 천도(天道)에서 벗어나고 자연의 정을 배반하여 타고난 본분을 망각하는 것일세. 예부터 이런 것을 둔천(遁天)의 형벌6)이라고 하네. 마침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그 선생이 태어날 때가 되었기 때문이고, 그가 마침 떠난 것은 그 선생이 마치 자기의 천분(天分)에 순응한 것이네. 그때에 편안하고 자연에 순종하면 슬픔과 즐거움이 스며들지를 못하네. 옛날에는 이를 천제(天帝)의 현해(懸解)7)라고 불렀네. 손으로 땔나무를 계속 밀어넣으면 불의 번짐은 끝날 줄을 모르는 법이네.”
1) 포정(庖丁): 요리를 직업으로 하는 백정
2) 문혜왕: 소요유편에 나온 양나라 혜왕
3) 상림의 춤: 은나라 탕왕이 상림(桑林)이라는 땅에서 기우제를 지낼 때 춘 춤.
4) 경수: 요임금 때의 음악이라고 전해지는 함지곡(咸池曲)의 한 악장 이름.
5) 노담(老聃): 노자(老子).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자는 담(耼)
6) 둔천의 형벌: 천리(天理)를 벗어난 죄.
7) 천제의 현해: 천제(天帝)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남.
'상상이상(想像理想) 이야기 > 치유와 수련의 필사(筆寫)'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 전문 읽기-잡편(雜篇) 서무귀(徐無鬼)편(7)...관중, 포숙, 습붕 (0) | 2025.06.19 |
---|---|
장자 전문 읽기-인간세(人間世)편(3)...당랑거철과 호랑이, 말을 기르는 사람 (0) | 2025.06.18 |
장자 전문 읽기-제물론(齊物論)편(5)-여희(麗姬)의 후회 (0) | 2025.06.15 |
장자 전문 읽기-산목(山木)편(2)-빈 배 (0) | 2025.06.14 |
장자 전문 읽기-대종사(大宗師)편(7)-앉아서 잊다 (0) | 2025.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