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게’ 한다는 것은 뭘까. 바르다는 것은 고정돼 있지 않다. 바른손은 오른손이다. 오른손잡이 위주의 세상에서는 바른손으로 하면 바르고, 오른손으로 하면 옳다. 반면에 왼손으로 하면
외다.
주역(周易)에서 바른 것은 대부분 ‘정(貞)’으로 표현돼 있다. 조건절인 경우가 많다. 즉 ‘바르게 하면’이나 ‘바르게 함이’라고 해석한다.
중천건(重天乾䷀) 乾 元亨利貞
중지곤(重地坤䷁) 坤 元亨利牝馬之貞
수뢰둔(水雷屯䷂) 屯 元亨利貞
산수몽(山水蒙䷃) 蒙 ~貞吉
수천수(水天需䷄) 需 ~利貞
지수사(地水師䷆) 師 貞
수지비(水地比䷇) 比 ~元永貞
천지비(天地否䷋) 否 不利君子貞
천화동인(天火同人䷌) 同人~利君子貞
택뢰수(澤雷隨䷐) 隨 元亨利貞
지택림(地澤臨䷒) 臨 元亨利貞
천뢰무망(天雷无妄䷘) 无妄 元亨利貞
산천대축(山天大畜䷙) 大畜 利貞
산뢰이(山雷頤䷚) 頤 貞吉
중화리(重火離䷝) 離 利貞
택산함(澤山咸䷞) 咸 利貞
뇌풍항(雷風恒䷟) 恒 利貞
천산돈(天山遯䷠) 遯 小利貞
뇌천대장(雷天大壯䷡) 大壯 利貞
지화명이(地火明夷䷣) 明夷 利艱貞
풍화가인(風火家人䷤) 家人 利女貞
수산건(水山蹇䷦) 蹇~ 貞吉
산택손(山澤損䷨) 損 有孚~可貞
택지췌(澤地萃䷬) 萃 ~利貞
택수곤(澤水困䷮) 困 亨貞
택화혁(澤火革䷰) 革 元亨利貞
풍산점(風山漸䷴) 漸 利貞
화산려(火山旅䷷) 旅 旅貞 吉
중택태(重澤兌䷹) 兌 利貞
풍수환(風水渙䷺) 渙 利貞
수택절(水澤節䷻) 節 ~ 苦節 不可貞
풍택중부(風澤中孚䷼) 中孚 利貞
뇌산소과(雷山小過䷽) 利貞
수화기제(水火旣濟䷾) 旣濟 利貞
利貞, 牝馬之貞, 貞吉, 貞, 元永貞, 君子貞, 利艱貞, 利女貞, 旅貞, 苦節 不可貞.
건괘와 곤괘의 정(貞)은 수(水)ㆍ북방(北方)ㆍ겨울의 가라앉고 응축하는 기운이다. ‘이정(利貞)’은 ‘바르게 함이 이롭다’이다. 국면이나 상황이 좋으면 좋아서 바르게 해야 하고, 안 좋으면 안 좋아서 바르게 해야 한다. 몽(蒙)괘의 경우, 바르게 해야 형통하다. 사괘(師卦)는 괘 자체가 바르다. 군대나 전문가는 그 자체로 바르다. 명이괘는 어려운 처지에서 바르게 해야 하고, 가인괘는 여자가 바르게 해야 한다. 또 려괘는 나그네가 바르게 해야 한다. 절괘에서 힘들고 고통스러운 절제는 바르게 할 없다.
바르게 하려면 상황이나 국면을 잘 파악해야 한다. 적절한 공간과 시간을 잘 선택해야 한다. 물음을 잘 정돈해야 한다. 그런 다음 스스로에 물어야 한다. 그 다음에 측근이나 그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해야 한다. 보통의 대중에게도 물어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천지신명께 점을 쳐서 물어봐야 한다. 기도해야 한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다.
'주역으로 글쓰기 > 글쓰기로 자강불식하는 주역(두마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점으로 하는 자가 상담 (0) | 2024.03.04 |
---|---|
길흉회린(吉凶悔吝) (0) | 2024.02.23 |
이로움과 이롭지 않음 (1) | 2024.02.18 |
만사형통(萬事亨通) (1) | 2024.02.17 |
암묵적(暗黙的) 지식과 명시적(明示的) 지식 (0) | 2024.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