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제자 안연이 제나라로 가게 되자, 공자는 근심하는 안색을 했다.
그래서 같은 공자의 제자인 자공이 자리에서 내려와 공자에게 물었다.
“제가 감히 여쭤봅니다. 안회가 동쪽 제나라로 가는데 선생님께서 근심하시는 안색을 하시니 어째서입니까?”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좋다, 너의 물음이. 옛날 관자(管子-관중)가 말했는데 내가 그것을 잘 기억하고 있다. 곧 『부대(포대) 중에 작은 것으로 큰 것을 담을 수가 없고, 두레박줄 중의 짧은 것으로는 깊은 우물물을 퍼마시지 못한다』고 하였다. 대체로 이러한 말은 천명에는 정해진 바가 있고, 형체에는 적절한 바가 있어, 마음대로 가감(加減)할 수 없다는 뜻이리라. 내가 걱정하는 것은 안회가 제나라 임금에게 요ㆍ순ㆍ황제의 도를 말하고, 더욱이 수인씨 신농씨의 말을 거듭한다면, 제나라 임금은 자기 마음 속에서 그런 말을 찾을 것이나, 그것을 이해할 수가 없을 것이다. 이해할 수가 없으면 안회에게 의혹을 둘 것이고, 의혹을 두면 안회가 잘못을 당할까 하는 점이다.
또한 너만이 듣지 못했느냐? 옛날에 바다새가 노나라 교외로 날아와 앉자, 노나라 임금은 그 새를 모셔다가 종묘(宗廟)에서 환영연을 열고, 순임금의 음악인 구소(九韶)의 음악을 연주하고, 소ㆍ양ㆍ돼지고기 등의 일등요리로 대접하니 그 새는 눈이 부시고 근심과 슬픔이 앞서 한 점의 고기도 먹지 못하고, 한 잔의 술도 마시지 못한 채로 3일만에 죽었단다. 이는 노나라 임금이 인간인 자신을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르고, 새를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체로 새를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르는 사람은 먼저 깊은 숲에다 길들이고, 평평한 땅에 놀게 하며, 강이나 호수에 뜨게 하여 미꾸라지나 피라미를 잡아 먹게 하고, 동무 새의 대열 속에 끼어 함께 있게 하고, 자유로이 날게 하여 살아가게 한다.
따라서 그런 새들은 사람의 소리도 싫어하는데 어찌 그런 시끄러운 음악을 연주해서야 되겠는가? 요임금의 음악인 함지나 순임금의 음악인 구소의 음악을 동정호의 들판에서 연주한다면, 새는 그 소리를 듣고 날아갈 것이고, 짐승은 그 소리를 듣고 달아날 것이며, 물고기는 그 소리를 듣고 물속으로 들어갈 것이다. 사람들만이 그 소리를 듣고 몰려와 구경할 것이다. 물고기는 물속에 있어야 살고, 사람이 물속에 있으면 죽는다. 이와 같이 사람과 물고기는 서로 달라 그들이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옛날 성인은 사람의 능력을 일률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하는 일도 동등하게 생각지 않았다. 이름이 실제에 부합하고, 뜻이 적성(適性)에 맞게 했던 것이다. 이것을 일러 이치에 통달하고 복을 유지하는 방도라는 것이다.”
'상상이상(想像理想) 이야기 > 치유와 수련의 필사(筆寫)'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 전문 읽기-산목(山木)편...미녀와 추녀 (1) | 2025.06.08 |
---|---|
장자 전문 읽기-외물(外物)편(7)...쓸모 없음의 쓸모, 무용지용(無用之用) (0) | 2025.06.06 |
장자 전문 읽기 –추수(秋水)(7)...물고기의 즐거움 (0) | 2025.06.05 |
장자 전문 읽기- 제물론(3) ...자연(自然)의 밝음 (1) | 2025.06.04 |
장자 전문 읽기 – 제물론편(2) ...도(道)[만뢰(萬籟)]에 순응하는 큰 지혜 (0) | 2025.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