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곽자(東郭子)가 장자에게 물었다.
“이른바 도(道)가 어디에 있습니까?”
장자는,
“없는 곳이 없소.”
동곽자는,
“어디에 있는지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십시오.”
“청개구리나 개미에게도 있소.”
“어찌 그리 하등(下等)한 것들에게만 있습니까?”
“기장이나 피에게도 있소.”
“어째서 더 하등의 것으로 내려갑니까?”
“기왓장이나 벽돌에도 있소.”
“어째서 더욱 더 하등의 것으로 내려갑니까?”
“똥이나 오줌에도 있소.”
그러자 동곽자는 아무 말이 없었다.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
“당신 질문은 도(道)의 본질에 미치지 못했소. 예컨대 시장(市場)의 관리인이 시장의 감독자에게 돼지의 살찐 여부를 알아보게 했을 때에, 조사해 보는 부분이 꼬리나 다리같이 하잘것없는 부분을 조사할수록 다른 부분의 살찐 여부를 더 잘 알 수가 있소. 이와 같이 당신은 도(道)가 어디에 있는가를 한정해서는 안되오. 도(道)가 사물을 초월한 것으로 생각해서도 안 되오. 지극한 도는 이와 같이 어디에나 있는 것이오. 위대한 도를 표현하는 말도 그와 같아, 주(周:두루)ㆍ편(徧: 고루)ㆍ함(咸:골고루)의 세 글자가 그 이름은 다르지만 그 실제의 뜻은 같은 것으로, 어느 것이나 도가 두루 존재한다는 점에는 한가지이오.
시험삼아 지금 당신과 함께 아무런 유위(有爲)가 없는 경지를 소요하면서 만물과 일체가 되어 저 사람이 없는 도에 대하여 말해봅세. 또 시험삼아 당신과 더불어 무위(無爲)의 입장에 서서, 담담하고 조용하게, 고요하고 깨끗하게, 만물에 조화해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면 우리의 뜻이 고요해질 것이오. 그렇게 되면 우리의 마음은 다른 사물로 가지 않을 것이므로 마음이 가서 닿을 바도 알지 못할 것이고, 갔다가 와도 사물에 집착하는 일이 없으므로 그 멈출 곳을 알지 못할 것이오. 그래서 광대무변(廣大無邊)한 풀어놓으면 아무리 큰 지혜가 엿보아도 그 끝이 다함을 알지 못할 것이오. 사물을 사물로써 존재하게 하고, 이를 지배하는 도는, 사물과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모든 사물 가운데 있는 것이오.
사물과 사물 사이에 저것과 이것은 이른바 상대적 구별이 될 것이오. 상대적인 구별이 없는 절대적인 상태로부터 상대적인 상태로 변하고, 또 상대적인 상태로부터 절대적인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네. 곧 가득찼다가 비어지되, 성했다가는 감소되는 현상계를 두고 말하더라도, 저 도(道)는 가득찼다가 비었다가 하는 현상을 만들어내지만, 도(道) 자체는 가득찼다가 비어지는 일이 없고, 그 도(道)는 쇠하여져 감소케 하는 현상을 만들어내지만 도(道) 자체는 쇠하여 감소되는 일이 없으며, 도(道)는 근본과 말단을 만들어내지만, 도(道) 자체는 근본과 끝이 없고, 도(道)는 모았다 흩어지게 하는 현상을 만들어내지만 도(道) 자체는 모았다가 흩었다 하는 일이 없네.”
'상상이상(想像理想) 이야기 > 치유와 수련의 필사(筆寫)'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 읽기- 외편(外篇) 변무(騈拇)편 (1)...학의 다리가 길다고 (0) | 2025.06.30 |
---|---|
장자 전문 읽기-내편(內篇)/인간세(人間世)(1)...심재(心齋) (3) | 2025.06.23 |
장자 전문 읽기-잡편, 서무귀(徐無鬼)(8)...재주를 자랑하면 (0) | 2025.06.21 |
장자 전문 읽기-잡편(雜篇) 서무귀(徐無鬼)편(7)...관중, 포숙, 습붕 (0) | 2025.06.19 |
장자 전문 읽기-인간세(人間世)편(3)...당랑거철과 호랑이, 말을 기르는 사람 (0) | 2025.06.18 |
댓글